Skip to main content

궤도소식

전국철도지하철노동조합협의회

성명/보도자료

[대구인권단체연석회의 성명] 대구지하철참사 21년, 대구시는 온전하고 존엄한 추모를 보장해야 합니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4-02-20 15:27
조회
385
[성명]

대구지하철참사 21년, 대구시는 온전하고 존엄한 추모를 보장해야 합니다.

대구지하철참사가 발생한 지 21년을 헤아립니다.
사망자 192명, 부상자 151명이라는 끔찍한 상처를 남겼던 2.18 대구 지하철 참사가 21년이란 오랜 세월이 흐르며 시민들의 기억 속에서 참사의 기억은 점점 지워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하철 참사로 사랑하는 가족을 잃은 유가족들과, 심각한 부상의 후유증을 안고 살아가는 부상자들에게 그날의 상처는 여전히 아픔으로 남아있습니다.

무엇보다도 대구지하철참사로 가족을 잃은 유가족들에게 더욱 끔찍한 것은 추모다운 추모를 할 수 있는 권리를 존중받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참사를 온전히 기억하고 제대로 된 치유가 되기 위해서는 존엄한 애도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가장 기본적으로 유가족에 대한 존중이 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대구시와 정부는 대구 지하철 참사에 대해 여전히 온전한 책임은 고사하고 약속마저 저버리고 있습니다. 대구시가 약속한 218 추모공원은 여전히 시민안전테마파크로, 추모탑은 안전조형물로 불리고 있습니다. 참사의 '참상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사고 전동차는 아무런 보존 대책도 없이 차량기지에 그대로 방치되어 있습니다. 대구지하철참사가 발생 21년이 지나도록 제대로 된 참사에 대한 기록조차 없습니다. 대구시와 홍준표 시장의 행정에 의해 21년째 대구지하철참사 지우기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참다못한 유가족은 21년이 지나도록 묵묵부답인 대구시와 홍준표 대구시장을 향해 "제대로 된 추모사업 이행"을 촉구하기 위해 면담을 요청했으나, 되돌아온 것은 대구시의 청원경찰들에 의해 몸이 들려 강제로 대구시청사 밖으로 쫓겨나야 하는 수모를 겪어야 했습니다. 게다가 홍준표 시장은 2023년 대구지하철참사 기일을 앞두고 "대구지하철 참사가 이제와 정쟁 도구로 이용되는 것은 옳지 않다"며 "세월호, 이태원, 민주노총, 시민단체가 추모식을 이상한 방향으로 끌고 가는 것은 온당치 않다며 유족 자격이 안되는 분이 있다면 배제 절차를 취할 것“이라는 무책임하고 지하철참사 유가족에게 모욕적인 내용의 페이스북 게시글로 올리기까지 하였습니다.

참사의 기억은 단지 유가족과 부상자들의 아픔을 공유하자는 것이 아닙니다. 다시는 같은 사회적 참사가 발생하지 않도록, 왜곡되지 않은 진짜 원인을 기억하고 희생자들을 추모하자는 것입니다. 아픈 기억을 지우려 노력할 것이 아니라, 아픈 기억을 딛고 생명·안전을 존중하는 사회로 한 걸음 더 나가자는 것입니다. 우리 사회가 참사의 기억을 소홀히 하는 동안 많은 사회적 참사가 되풀이되었습니다. 세월호 참사, 이태원 참사, 오송 지하도 참사 모두, 우리 사회가 좀 더 안전한 시스템을 갖추었더라면 막을 수 있었던 참사였습니다.

다시 말해, 참사 피해자가, 난 피해자이니 나를 대할 때는 어떻게 해달라고 설명해야 하는 사회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참사를 감추기에만 급급한 사회는 온전히 추모도 아닙니다. 이제는 아픈 과거를 마음속 깊은 곳에 묻어두고 일상으로 돌아올 때가 되었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럴 수 없습니다. 아무리 세월이 흘러도 잠사의 아픈 기억은 절대로 지워지지 않습니다. 아니 오히려 기억해야 합니다.

그래서 다시 대구지하철참사 21년에 즈음해서 다시 되새겨야 합니다. 이대로는 참사를 제대로 기억할 수 없습니다. 생명·안전 존중 사회로 나갈 수 없습니다. 참사를 기억하고 추모하기 위한 노력을 다시 이어가야 합니다. 대구지하철참사를 기억하고 추모하는 것은 단순히 잊지 말자는 것이 아니라, 다시는 그러한 참사가 발생하지 않기 위한 사회적 지역적 성찰이 함께 수반됩니다. 그리고 이윤중심의 사회에 대한 비판, 안전한 사회 그리고 지방정부와 국가가 온전히 책임지는 존엄한 사회를 위한 우리의 약속과 노력입니다.

2024. 2. 19.

대구인권단체연석회의
인권실천시민행동 인권운동연대 한국인권행동 대구NCC인권선교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