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노조, 대규모 인력감축 중단, 부당 ‘임금삭감’ 해결, 노동 안전 보장
서울시의 전향적 변화 촉구하며 직접 교섭 요구

서울교통공사노동조합이 서울시의 대규모 인력감축 중단과 안전 인력 충원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오는 12월 12일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25일 선언했다. 노조는 지난 14일부터 19일까지 진행된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 83.53%의 찬성률로 파업을 가결했으며 , 서울지방노동위원회의 조정 중지 결정에 따라 합법적인 쟁의권을 확보한 상태다. 노조 측은 서울시가 경영효율화를 명분으로 2,200여 명에 달하는 구조조정을 강행하고 있어 노동자와 시민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고 주장하며, 사측의 태도 변화가 없을 시 12월 1일부터 준법 투쟁을 시작으로 투쟁 수위를 높일 방침이다.
노조는 이날 오전 10시 30분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파업 일정과 요구사항을 발표했다. 노조에 따르면 지난 14일부터 19일까지 진행된 쟁의행위 찬반투표에는 조합원 88.58%가 참여해 83.53%의 압도적인 찬성으로 쟁의행위가 가결됐다. 또한 지난 17일 서울지방노동위원회의 조정 절차가 ‘조정 중지’로 종료됨에 따라 노조는 언제든 파업에 돌입할 수 있는 합법적 권한을 확보했다.
이번 갈등의 핵심은 서울시와 공사가 추진 중인 대규모 구조조정이다. 노조는 서울시가 ‘경영혁신’을 앞세워 2026년까지 정원의 10%가 넘는 2,200여 명의 인력을 감축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특히 올해에만 800여 명의 정원 감축이 강행되고 있으며, 신규 채용 절차가 서울시의 제동으로 전면 중단된 상태라고 밝혔다. 노조 측은 “이대로라면 연말 퇴직 이후 인력 공백이 심각해져 시민 안전이 위협받을 것”이라며, 과거 신당역 역무원 피살 사건이나 작업자 감전사 사고 등이 인력 부족으로 인한 ‘나 홀로 근무’에서 비롯되었다고 지적했다.
임금 및 보건 이슈에 대한 갈등도 여전하다. 노조는 정부의 공공기관 임금 인상 가이드라인이 3%임에도 불구하고, 사측이 재정 부족을 이유로 1.8% 인상안을 고수하고 있어 실질임금 삭감이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작업장 유해물질로 인한 혈액암 등 직업성 암 집단 발병이 확인되었음에도, 관련 예산(208억 원) 부담 주체를 놓고 서울시와 공사가 책임을 떠넘기며 1년째 개선 대책이 이행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노조는 서울시와 사측의 태도 변화를 촉구하며 단계적인 투쟁 로드맵을 제시했다. 우선 오는 27일 서울시청 앞에서 대규모 총력투쟁 결의대회를 개최한다. 이어 12월 1일부터는 준법 운행, 규정에 정한 업무 외 작업 거부 등 ‘준법 투쟁’에 돌입하고 대시민 선전전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러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노사 간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12월 12일 전면적인 총파업을 단행할 예정이다.
서울교통공사노동조합은 “서울시와 사측이 전향적인 자세로 나온다면 대화를 마다할 이유가 없다”면서도 “노조의 정당한 요구를 묵살하고 비용 절감 논리만 내세운다면 최후 수단인 총파업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