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사진: 우이신설도시철도 홈페이지. 노동조합은 성명을 발표 얼마 전 있었던 화재에 대해 손 놓고 있는 당국을 비판했다)

2월 18일 대구지하철참사 19주기가 얼마 남지 않았다. 이와 관련하여 우이신설경전철 노동자들이 얼마 전 있었던 419민주묘지역 화재사고에 대해 관계 당국에게 안전대책 마련과 책임을 추궁하는 입장을 발표했다.

419민주묘지역 화재는 누군가 고의로 불을 낸 역승강장 쓰레기통의 불을 다른 승객이 스스로 끄면서 다행히 큰 화재로 이어지지 않았지만, 해당 역이 무인역이었고 만약 불이 커졌을 때 승객이 없는 상태였다면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었다는 점에서 대구지하철참사를 연상시키는 사고였다.

성명서를 통해 우이신설경전철 노동조합은 안전인력 부족, 적은 비용에 의한 운영, 이를 강요하는 위탁 다단계 사업구조 때문에 화재사고가 인명 피해를 불러일으키는 더 큰 사고로 이어지지 않은 것이 다행이다고 말했다. 대구지하철참사 19주기가 되는 시점에서 아무 조치도 없는 서울시나 국토교통부의 안전불감증을 지적한 것 아니냐는 평이 나온다.

대구지하철참사

19년 전 2003년 2월 18일 대구지하철참사는 한 승객이 시너 통을 들고 전동차에 탑승, 시너를 뿌리고 불을 붙이며 불이 커졌고, 그 와중에 반대편에서 오던 전동차가 맞은 편 승강장에 정차하고 그 불이 옮겨붙으며, 결국 공식 사망자 192명, 부상자 151명, 실종 6명을 내는 참사였다.

이날의 참사의 배경은 근본적으로는 1997년 11월 26일 개통한 대구지하철 1호선이 곧이어 1997년 12월 3일, 한국 정부가 IMF에게 구제금융을 요청하는 90년대와 2000년대 초반의 경제 위기의 역사에 맞물려 있다는 것이었다. 경제 위기 탈출이라는 미명 하에 안전보다는 효율과 경쟁 논리가 앞서는 시대 상황의 탓이 컸다. 이 때문에 막 개통한 대구지하철은 개통을 위해 필요한 비용 절감의 압력을 크게 받았고, 저가 경쟁 입찰이 강요되는 상황에서 불연재를 쓰지 않은 채 개조된 전동차가 입찰을 따내어 궤도 위를 달릴 수 있었다. 당연히, 인원 역시 최소화된 형태로 채용되어 운영되었다.

이는 현재 우이신설을 포함한 경전철 사업의 구조와 이것이 낳은 환경들과 닮아 있다. 현재 대부분의 경전철은 무인역이거나 1인역이며, 각종 업무의 통폐합근무형태 등에 의한 최소한의 인력 운영을 특징적인 환경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는 구조적으로 인건비 축소가 불가피한 운영 계약 입찰제, 그리고 이를 강요하는 민간 위탁 운영 방식의 사업 구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현재의 경전철 운영 체제대로라면 대구지하철참사가 재발하는 것도 무리가 아닌 조건을 다 가지고 있는 것이다.

닮았다

실제로 이런 환경과 구조를 가지고 있던 2003년 대구지하철은 반대편 선로에서 들어오던 전동차가 불이 붙은 전동차 바로 옆에 정차하도록 한 미숙한 대처 능력과 결합하며 사고를 참사로 키우고 말았다. 그리고 이번 419민주묘지역 화재에서도 화재 경보가 발령한 해당 역으로 접근 중이던 다른 열차가 정차하는 일이 벌어졌다.

안전불감증

얼마 뒤면 대구지하철참사 19주기다. 사람들은 19년이 지난 대구지하철참사를 잊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그날의 죽음을 닮은 또 다른 죽음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교훈을 제대로 얻지 못하고 참사를 반복시키는 정부 탓도 적지 않다. 그런데도 노동조합이 지적한 바와 같이, 유사 사건의 발발에도 불구하고 아무 조치를 취하지 않는 당국은 안전불감증에 걸린 것이 아닌가 의심된다.